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 주간
  • 044-205-1070
  • 야간(당직)
  • 044-205-1600
  • 이메일주소
  • safetv@korea.kr

산사태 예방 및 행동요령

2015-09-23 10:33:35.0

산사태 예방 및 행동요령
더보기

영상대본

대본복사
다량의 암석이나 쇄설물질, 토사 등 지표상의 지반 재료가 경사면을 따라 급격하게 아래로 이동하는 현상, 산사태.
주로 태풍과 장마철에 발생하며 산림이나 경작지, 가옥, 인명에 큰 피해를 가져다 주는데요.
산사태 피해를 막기 위한 행동요령에 대해 알아봅니다.

발생원인
산사태의 발생 원인으로는 하부침식이나 호우 때문에 지반의 토사가 움푹 꺼지는 지반 꺼짐과 불포화 및 압밀되지 않은 지반재료들이 오랜 기간 풍화작용을 받아 연약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흘러내리는 토석 미끄러짐, 집중호우 등으로 낙석과 토사 등이 서로 뒤엉켜 유동체처럼 흘러가는 토석 흐름이 있는데요. 이동속도가 매우 빠르며 주로 토석 미끄러짐과 함께 발생하는 복합적인 구조를 보입니다.
그 밖에도 암석이 급격사지 면으로부터 떨어져 튀거나 구르면서 자유 낙하하는 경우 산사태 발생 위험이 있는데요.
마지막으로 어떤 한 점이나 축을 중심으로 경사면의 앞쪽으로 암반이 넘어지는 현상도 산사태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때문에 암반이 있는 산의 경사면 인근을 지날 때는 주위를 잘 살펴야 합니다.

산사태 위험 지역
산사태 위험 지역으로는 혀 모양으로 토질과 암반이 흘러내린 흔적이 있는 지역이 대표적인데요.
식생이 교란되거나 자라지 않는 지역도 산사태 위험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 외에도 급경사지면과 평행하게 발달한 기반암이 존재하는 지역, 하루 강우량이 140mm 이상이거나 시간 강우량이 30mm 이상, 또는 2일 누적 강우량이 200mm 이상인 지역은 산사태 위험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산사태 발생 전
산사태는 사전에 조금만 대비를 해도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는데요.
먼저, 개인 소유 급경사지를 사전에 점검합니다.
이 때 배수시설 또한 함께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사태 위험을 인지하게 될 경우에는 즉시 관계기관이나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대피 계획과 비상연락 방법을 미리 알아둬 산사태 발생 시 바로 대피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산사태 발생 중
산행 중 산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계곡부나 물길 형성 지역 등 산사태 경로 밖으로 안전하게 피신합니다.
또한, 산사태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높은 산으로 피신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산사태 발생 후
산사태 발생 후에는 산사태로 인한 부상자 구호와 피해 현황을 점검해 인명구조, 피해복구 작업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합니다.
향후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산사태 위험 평가나 보강 대책을 위해 전문가 및 관계 기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최근 무분별한 산림 개발과 훼손으로 산사태 위험 지역이 점점 늘고 있는데요.
자연과 인간의 안전을 생각한 개발만이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