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 주간
  • 044-205-1070
  • 야간(당직)
  • 044-205-1600
  • 이메일주소
  • safetv@korea.kr

성인 걸음 속도보다 빠른 밀물 속도! 갯벌 체험 시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해양경찰과 함께 제작해 보았습니다!ㅣ9월 2주 주간 학교안전통신문

2021-09-03 17:20:23.0

일반 성인의 걸음 속도는 약 4km.
그에 반해 바다에서 물이 들어오는 밀물의 속도는 약 10km!!
따라서 바다에서 갯벌 활동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갯벌 체험 시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과, 갯벌에 빠졌을 때 탈출법까지~ 이번주 안전한TV 주간학교안전통신문에서 해양경찰과 함께 준비해 보았습니다!
실제 촬영 당일에도 우리 학생들이 갯벌에서 10발자국도 못가서 발이 빠져버려서 매우 당황했어요~
안전하고 즐거운 바다 활동을 위해 이번 영상도 끝까지 꼭 시청해주세요~
더보기

영상대본

대본복사
00:00 김민석, 신찬미 학생
안녕하세요. 두빈초등학교에서 온 5학년 김민석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삼양초등학교에서 온 5학년 신찬미입니다. 서해 안에서 갯벌 체험왔는데. 일단 가볼까요? 

00:15 해양 경찰, 김민석, 신찬미 학생
얘들아 잠깐. 
아저씨 누구세요?
아저씨는 보령 해안 경찰서에서 근무하는 전민철 경장이야. 혹시 갯벌에서 지켜야 될 안전수칙에 대해서 아니?
아니요. 잘 몰라요. 
오늘은 아저씨와 같이 갯벌에서 꼭 필요한 안전 수칙에 대해서 같이 알아볼 거야. 

00:38  해양 경찰, 김민석, 신찬미 학생
자 하나 둘 셋, 출발. 
살려주세요.
얘들아 갯벌 사용해본 적 있어?
아니요.
갯벌은 다리가 많이 빠지기 때문에 꼭 정해진 길로 가야 돼. 그렇지 않으면 큰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어. 얘들아 우리 여기서 한 번 갯벌 체험 해볼까? 불편하더라도 갯벌체험활동 시 구명조끼를 꼭 착용해야 사고 발생 시,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가 있어. 구명조끼는 헐렁하지 않게 몸에 꽉 맞게끔 채워주는 게 좋고 가슴 버튼 그리고 다리 끈 순서대로 착용해주면 돼.
다리 끈 왜 하는거에요?
이 다리 끈은 물에 빠졌을 때 구명조끼가 위로 들리거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다리 끈을 꼭 채워주는거야.
 
01:31 해양경찰
갯벌 활동 준비물이 있어요. 무슨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니까 꼭 이 구명조끼는 안전하게 꼭 착용해야 하고 갯벌 활동할 때 혹시나 바위돌이나 조개껍질 등에 손이 베일 수 있으니까 장갑을 꼭 착용하고 구조대나 혹은 119에 신고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방수팩에 보관해서 꼭 소지하도록 해요. 

02:07 해양경찰
방수팩을 왜 써야 되는지를 알려줄게. 핸드폰을 바다에 빠뜨리거나 갯벌에 빠졌을 때 핸드폰이 고장이 나. 고장이 나면 신고를 못하면 위험에 빠져. 그렇기 때문에 이 핸드폰을 방수팩에 넣어서 보관하고 소지를 해야 돼. 봐봐. 핸드폰을 방수팩에 넣고 목에 차고 그리고 119나 해로드를 통해서 신고를 하면 돼. 그리고 또 중요한 거는 비상시에 호출을 할 수 있게 호루라기 있지? 호루라기를 방수팩이랑 같이 차서 이 위급한 일이 생겼을 때 이 호루라기를 불러서 사람들을 불러야 돼 하겠지? 자, 불러봐.

02:51 해양경찰
갯벌에서는 절대 혼자로 돌아다니면 안 되고 두 명 이상 꼭 같이 다녀야 돼요. 아시겠죠? 

03:04 김민석 학생
근데 갯벌에 빠졌을 때 어떻게 나와요?

03:06 해양경찰
갯벌에 빠졌을 때 나오는 법은 아저씨들이 직접 보여주면서 설명을 해줄게. 갯벌에 빠지면 서 있는 상태로 몸에 힘을 줘서 빠져나오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아요. 이렇게 된 경우 발바닥에 체중이 실리기 때문에 움직일수록 더 갯벌로 빠져들게 돼요. 이때의 탈출이 요령으로는 몸을 뒤로 편안하게 누우시고 체중을 갯벌에 분산시킨 다음에 뒤로 자전거 타듯이 발차기를 해주시면은 쉽게 빠져나오실 수가 있어요. 다 빠져나오신 다음에도 일어서 서서 가면은 다시 갯벌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몸을 앞으로 엎드린 다음 무릎으로 기어서 위험 지역을 신속하게 빠져나가 주시는 게 좋아요. 

04:00 김민석 학생
발이 자꾸 빠져서 걷기 힘들어요.

04:02 해양경찰
갯벌은 하루에 두 번 물이 들어왔다 나갔다를 반복해요. 걷기가 힘들기 때문에 물이 들어오기 전에 미리 나가야 돼. 물때는 인터넷이나 헤로드라는 어플을 통해 쉽게 알아볼 수 있어요. 본인 휴대폰에 밀물이 들어오는 시간 알람을 맞춰놓는 것도 까먹지 않게끔 도움이 되겠죠. 

04:23 김민석, 신찬미 학생
오늘 갯벌 체험 어땠어?
갯벌 안전수칙에 대해서 잘 이해한 것 같아.
나도 재미만 있으면 되는 줄 알았는데 지켜야 할 안전사항도 꽤 많더라고.

04:35 해양경찰, 김민석, 신찬미 학생
애들아, 오늘 갯벌에서 안전수칙하고 체험활동을 해봤는데 어땠어?
재밌었어요.
이렇게 갯벌에서도 지켜야할 안적수칙도 있지만. 해수욕장에서도 너울성파도를 조심해야 돼.
해수욕장이 폐쇄 됐는데도 사고가 많이 일어나거든. 앞으로 갯벌이라든지 해수욕장에서 안전수칙 잘 지켜서 우리 즐겁고 안전한 바다생활을 해줬으면 좋겠어.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안전한 바다생활 되세요.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