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 주간
  • 044-205-1070
  • 야간(당직)
  • 044-205-1600
  • 이메일주소
  • safetv@korea.kr

대중교통 사고 시 대처 및 구조

2022-07-06 21:32:00.0

대중교통 사고 시 대처 및 구조에 대해 알아봅니다.
더보기

영상대본

대본복사
Na] 우리 일상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중교통.
    대중교통 사고와 그에 따른 사상자는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데요
자막] 시내버스, 마을버스 사고 현황
     시내버스 : 2018년 4,928건 / 2019년 5,461건 / 2020년 3,988건 
     마을버스 : 2018년 1,051건 / 2019년 1,158건 / 2020년 963건
     *출처 : 도로교통공단, 2020

Na] 언제 어디에서 일어날지 알 수 없는 대중교통 사고
자막] 장날에 날벼락…추돌사고 버스 전도, 42명 부상

Na] 대처 요령과 구조법을 알고 있어야 침착하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자막] 새벽 지하철역 방화
     20대 검거…
     대형참사 날 뻔

Na] 대중교통 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Na] 회사 출근을 위해 매일 통근 버스를 이용하는 주인공.
      
Na] 버스 안 TV에서 소화기와 비상출구 등
자막] 비상시
     소화기, 비상구 위치!

Na] 안전에 대한 영상이 나오지만 전혀 관심이 없어 보이는데요
자막] 설마 사고가 나겠어?

Na] 부지런히 도로를 달리는 통근 버스.
    그런데,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Na] 주인공도 뭔가 이상한 것을 느낀 듯한데...
    버스 안에 순식간에 차오르기 시작하는 연기!
    이런 긴급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Na] 버스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자막] 버스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Na] 버스에 화재가 발생하면, 큰소리로 외치거나,
    벨을 눌러 화재발생사실을 알리고 대피하세요.
    이때, 즉시 119에 신고하세요
자막] 버스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버스 화재 발생 시, 큰소리로 외치거나 벨을 눌러
        화재 발생 사실 알리고 대피하기 (119 신고하기)

Na] 화재 규모가 작을 경우, 운전석 뒷자리에 설치된 소화기를 이용해 불을 끄세요
자막] 버스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운전석 뒷자리에 설치된 소화기로 불 끄기

Na] 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 출입문 주변의 비상 스위치를 
    수동으로 돌려서 탈출하세요
자막] 버스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출입문 주변의 비상 스위치를 수동으로 돌려서 탈출하기

Na] 출입문이 찌그러지거나 무언가로 막혀서 나갈 수 없다면,
    비상망치를 이용해 창문을 깨서 탈출하세요
자막] 버스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출입문으로 나갈 수 없을 경우, 비상 망치로 창문을 깨서 탈출하기
        (뾰족한 끝 부분으로 창문 가장자리 조준)

Na]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Na] 노약자, 장애인석 측면에 있는 비상전화기로 승무원에게 사고 사실을 알리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노약자, 장애인석 측면 비상전화기로 승무원에게 사고 사실 알리기

Na] 화재 발생 시, 비상전화기 아래에 비치된 소화기로 불을 끄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화재 발생 시, 비상전화기 아래에 비치된 소화기로 불 끄기

Na] 비상용 망치를 이용해 창문을 깨고 망치가 없을 경우 소화기로 창문을 깨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비상용 망치를 이용해 창문을 깨고
        망치가 없을 경우 소화기로 창문 깨기
Na] 신형 전동차의 경우 출입문 옆 커버를 열고,
    비상 핸들을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 문을 열고 탈출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출입문 옆 커버를 열고 비상 핸들을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
        문을 열고 탈출하기

Na] 구형 전동차는 의자 밑 비상코크 커버를 열어서
    밸브를 몸 쪽으로 당긴 뒤 문을 열고 탈출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의자 밑 비상코크 커버를 열어서 밸브를 몸 쪽으로 당긴 뒤
        문을 열고 탈출하기

Na] 전동차가 올바르게 정지할 경우,
    스크린도어를 양 옆으로 열고 탈출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전동차가 올바르게 정지할 경우,
        스크린도어를 양 옆으로 열고 탈출하기

Na] 전동차가 어긋나게 정지할 경우,
    스크린도어 안전 바를 누른 채 앞으로 밀어서 열고 탈출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전동차가 어긋나게 정지할 경우,
        스크린도어 안전 바를 누른 채 앞으로 밀어서 열기

Na] 화재 발생 장소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하고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화재 발생 장소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하기

Na] 통로에 연기가 많을 경우 선로로 대피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통로에 연기가 많을 경우 선로로 대피하기

Na] 구호용품보관함 하단에 위치한 화재대피용 마스크를 사용하고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구호용품보관함 하단에 위치한 화재대피용 마스크를 사용하기

Na] 마스크를 찾기 어려울 때는 젖은 손수건과 옷으로
    호흡기를 가리고 몸을 낮춰서 이동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마스크를 찾기 어려울 때는 젖은 손수건과 옷으로 호흡기를 가리고 대피하기

Na] 정전 시에는 유도등을 따라 출구로 대피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정전 시에는 유도등을 따라 출구로 나가기

Na] 대피할 때는 침착하고 질서 있게 이동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모든 대피 상황에서는 안내 방송을 따라 행동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는 사실, 기억하세요!
자막] 지하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대피할 때는 침착하고 질서 있게 이동하기

Na]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Na] 부상이 경미한 환자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고,
    부상이 심한 환자는 무리하게 옮기지 말고 구조대가 올 때까지 기다리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부상이 경미한 환자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고,
        부상이 심한 환자는 구조대가 올 때까지 기다리기

Na] 부상자가 의식이 있을 경우 미리 신원을 파악해두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부상자가 의식이 있을 경우 미리 신원 파악해두기

Na] 의식이 없는 부상자는 머리를 옆으로 향하게 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턱을 위로 올려 기도를 확보하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의식이 없는 부상자
        머리를 옆으로 하여 입안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턱을 들어 올려 기도 확보하기

Na] 기도 확보 후에는 호흡을 하지 않으면 심폐소생술을 하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의식이 없는 부상자
        기도 확보 후에도 호흡을 하지 못하면 심폐소생술 실시

Na] 호흡에 압박을 주지 않도록 부상자의 옷을 헐렁하게 하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의식이 없는 부상자
        부상자의 옷을 헐렁하게 풀어주기

Na] 출혈이 있는 부상자는 거즈나 깨끗한 손수건으로
    상처를 꽉 누르거나 묶어서 압박하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출혈이 있는 부상자
        거즈나 깨끗한 손수건으로
        상처를 꽉 누르거나 묶어서 압박하기

Na] 다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향하도록 하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출혈이 있는 부상자
        다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하기

Na] 골절 부상자는 골절 부위를 원상태로 돌려놓으려고 무리한 시도를 하지 말고
    구급차가 올 때까지 움직이지 않도록 하세요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골절 부상자
        구급차가 올 때까지 움직이지 않기
        (골절 부위를 원상태로 돌려놓으려고 무리한 시도하지 않기)

Na] 구급차가 올 수 없을 때는 나무판자, 종이상자 등의
    부목을 이용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하세요
    이때, 다친 부위의 뼈보다 긴 부목을 사용해야 합니다
자막] 대중교통 사고 발생 시 구조방법
      ▶골절 부상자
        구급차가 올 수 없을 때는 나무판자, 종이상자 등의 부목을 이용하여
        골절 부위 고정하기 (다친 부위의 뼈보다 긴 부목 사용)

Na] 대중교통 사고 대처요령과 구조방법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자막] 대중교통 사고 대처요령과 구조방법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