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 주간
  • 044-205-1070
  • 야간(당직)
  • 044-205-1600
  • 이메일주소
  • safetv@korea.kr

생존전문가 김종도가 알려주는 산에서 조난 당했을 때 대처법(1편)

2017-10-16 14:09:18.0

베테랑 생존전문가 김종도씨가 어디서도 공개하지 않은 특별한 생존 노하우를 안전한TV를 통해 알려드립니다.
산에서 조난 당했을 때 어떻게 길을 찾고 버틸 수 있는지...
김종도씨가 터득한 생존 노하우를 함께 알아보세요.
더보기

영상대본

대본복사
전투형 헬기 조종사로 혹독한 훈련을 견디며 생존 기술을 터득한 지난날.. 지금 나는 극한 상황 속 생존전문가다. 
안녕하십니까 생존 전문가 김종도입니다. 
이번 생존 시뮬레이션은 산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사고에 대한 대처법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르면 어렵고 또 알면 쉬운 생존의 노하우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산행을 하다 보면 애매한 상황이 있습니다. 갈림길인데 어느쪽이 진짜 내가 가야 될 위치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생겨요. 
정말 길같은 곳이 있습니다. 지금 같은 경우에는 여기가 그렇네요. 
이쪽은 암반 지역이긴 한데 나름데로 올라갈 수 있는 급경사 라인이 있고요. 제 좌측에는 보시다싶이 아주 나즈막하게 행으로 이어지는 길이 보입니다. 사실은 우리가 이럴 때 방향을 정확하게 탐지하지 못하고 잘못된 길을 가면 그 상태가 조난의 씨앗이 되는 거죠. 지금 같은 경우에는 나침판이 없다는 가정에 따라 시계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복잡한 것 같지만 사실 하나도 복잡하지 않습니다. 하나만 외우시면 돼요. 북반구 우리나라 북반구입니다. 북반구의 방법만 보시면 됩니다. 태양과 시침이 비치는 방향과 시계의 숫자판에는 12시 방향 고 정중앙이 남쪽입니다. 요렇게 대략적인 방위를 쓰는 방법 중에 대표적인것 시계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경우가 있죠. 제 시계는 전자시계인데요. 가상의 전자시계를 아날로그 시계로 바꿀 수 잇는 것은 초등학교 때 다 배웠으니까 종이나 땅바닥에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전자시계도 아날로그 시계처럼 태양을 이용해서 방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길을 찾는 방법을 보여드릴께요. 보시면 지금 경사가 높은 쪽으로 북쪽을 가르키고요. 대략적인 방위는 거의 시계와 다를 바가 없죠. 저 같은 경우에는 진행 방향을 위쪽으로 동쪽을 향하고 있는 이쪽 길을 선택해서 올라가 보고요. 만약에 이 길이 아니면 다시 내려오거나 내려온 길조차 힌트를 못찾는다면 그때 바로 조난을 대비해서 구조대가 올 때까지 버티는 준비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올라가 보겠습니다. 
어 여러분 이런 장소가 조난 상황에서 구조대가 올때까지 버티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요. 보다시피 큰 암벽, 또는 큰 지물이 한쪽을 막아준다는 것은 굉장히 방풍효가가 크거든요. 지역 자체가 안정적이고 주변에 있는 숲들이라든가 나무들이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줄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조난당했다면 이와 같은 지형적인 요건과 가장 흡사한 곳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자 이제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해서 체온을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피신처가 일차적으로는 갖춰줬죠. 기본적으로 챙겨야 할 필수적인 최적의 최소의 장비 정도는 갖출 필요가 있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것을 한 가지를 직접 보여 드리겠습니다. 
방풍 비닐입니다. 방풍 비닐 같은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방수, 방풍, 보온효과가 있죠. 방풍 비늘을 이렇게 뒤집어 써보면 생존상황에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죠. 자 이제 비닐을 가지고요. 맨바닥에 그냥 앉으면 좋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이 방석이 없다고 그러면 배낭을 깔고 앉아서 등을 이렇게 암벽에 지지한 상태에서 몸을 최대한 이렇게 웅크리고 구조대가 올때까지 버틴다면 건강한 상태로 구조대를 맞이 할 수 있겠죠.
여러분 비상식량으로는 이런 초코바라든가 사탕이 좋은데요. 먹는 것도 한꺼번에 먹지 마시고 나눠서 먹는다 생각하시고 나눠서.. 한 4등분정도.. 4등분 정도 나눠서 일단 구조대가 올때까지 첫번째 덩어리를 먹고 버티겠습니다. 그 다음 목이 마르니까 물 조금만 마시겠습니다. 지금처럼 충분히 물을 머금고 서서히 삼키면서 여러번 나눠서 삼킨다고 하면 갈증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이상태로 여러분은 구조대가 올 때까지 버티면 되겠습니다.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