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 주간
  • 044-205-1070
  • 야간(당직)
  • 044-205-1600
  • 이메일주소
  • safetv@korea.kr

프로그램명

전기 감전사고 예방 및 행동요령

2015-09-23 10:33:35.0

전기 감전사고 예방 및 행동요령
더보기

영상대본

대본복사
전기기기 취급 부주의로 인한 감전사고는 근육이 수축하고 화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기도 합니다.
잘못된 사용으로 인한 전기사고 그 예방요령을 알아봅니다.

전기코드는 절대 잡아당기면 안됩니다. 코드를 잡아당기면 피복 안의 구리선이 끊어져 화재와 감전사고를 불러올 수 있어 반드시 플러그를 잡고 뽑아야 합니다.
여러가지 전기제품을 사용하면 화재와 감전의 원인이 됩니다. 전선마다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양은 정해져 있으므로 문어발식 배선은 피해야 합니다.
접지는 필수, 세탁기, 냉장고, 업소용 냉장진열장 등은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서 반드시 접지시설을 하는게 좋습니다.
플러그나 콘센트, 전선이 손상된 경우에도 감전이나 합선의 원인이 되므로 불량 전기기구는 교체 사용하고 물이 묻은 젖은 손은 마른 손에 비해 감전의 위험성이 10배 이상 증가합니다. 젖은 손으로 무심코 플러그나 스위치를 만지는 것은 삼가해야 합니다.
유아나 어린이들은 호기심에 젓가락이나 쇠붙이 등을 구멍에 넣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드시 덮개 있는 콘센트를 사용합니다.

감전사고는 습도가 높은 여름에 자주 발생합니다.
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가장 먼저 사고자 주변의 전선, 또는 기기의 전원 스위치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때 구조자도 감전되지 않으려면 고무장갑 같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건을 이용해 기기 또는 전선으로부터 사고자를 분리합니다.
사고자를 구출한 후에는 피해자의 의식, 호흡, 맥박 등 상태를 확인하고 의식이 없을 경우에는 즉시 병원으로 옮겨야 합니다.

우리 생활 속 쉽고 간단하지만 절대 잊어선 안될 감전사고 예방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에 젖은 손으로는 절대 전기기구를 만지지도 사용하지도 않습니다.
플러그를 뽑을 땐 전선을 잡아당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또 어린 아이들이 콘센트에 젓가락이나 철사 등을 집어넣지 않도록 관심을 기울입니다.
위험이나 고압 등이 쓰인 장소에는 절대로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전봇대를 오르거나 전선을 긴 막대로 찌르는 행동은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땅에 떨어진 전선 가까이에는 가지 않습니다. 만일 땅에 떨어진 전선을 발견했을 경우 한국전력공사 고장신고전화 123번으로 연락합니다.
고장난 전기기기는 함부로 고치지 않고 전문 수리업체 또는 전문가에게 의뢰해 수리합니다.
물에 젖은 전기기구는 바로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를 뽑아놓고 전문가에게 의뢰합니다.
누전차단기는 꼭 사용하여 전기가 누전됐을 때 신속하게 전기를 끊을 수 있도록 합니다.
세탁기나 펌프 등 전기기기의 금속 부분은 반드시 전선을 이용해 땅 속 깊이 접지합니다.

생활에 편리함을 가져다준 전기. 그러나 사소한 부주의가 순식간에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앗아갈 수 있습니다.
안전생활의 습관화로 편리한 전기, 안전하게 사용합시다.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