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N
S
열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전기, 그러나 갑작스러운 정전에 난감한 적이 있으신가요? 정전이 발생 하면 이렇게 행동해 주세요! ◎우리 집만 정전이에요! - 정전이 되면 플러그를 뽑거나, 스위치를 꺼두고 누전차단기 이상 유무를 확인 - 옥내 전기설비에 이상이 있으면 전기공사 업체에 의뢰 - 옥내 전기설비에 특별한 이상이 없을 때에는 한전(☎123) 또는 통합 민원 상담 전화(☎110)으로 도움을 요청하세요! ◎이웃집도 정전이네요! - 대부분 한전 선로 고장인 경우로 신속히 복구됩니다. 실내에서 대기해주세요. - 아파트는 단지 내 선로 및 전기설비의 고장일 수 있으니 관리사무소에 연락하세요. ◎1정전으로 엘리베이터에 갇혔어요! - 당황하지 말고 승강기 내 인터폰으로 상황을 알려주세요. - 인터폰 연결이 안 될 경우 119상황실로 연락해 승강기 번호 7자리를 알려주세요. ※정전으로 운행이 정지될 시, 절대로 임의 탈출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정전 대비해 휴대용 랜턴과 건전지 라디오, 비상 식음료 등은 항상 구비해 두세요!더보기
영상대본

휴일 아침 컴퓨터 게임에 열중하고 있는 튼튼이. 엄마도 휴식을 취할 겸 티비 앞에 앉았는데요. 마사지기도 하고~ 티비도 보려던 찰나. 그런데! 티비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밝았던 집안은 암흑이 되고 말았는데요. 튼튼이네 집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 인류에게 편리함과 생활의 발전을 가져다 준 전기. 이미 우리 삶 깊숙이 자리 잡고 있어 전기가 없는 세상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텐데요. 만약 이런 전기가 사라진다면 어떨까요? 당장 집안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명과 각종 전자제품은 쓸 수 없게 되고 병원에서 의료기기에 의존하고 있는 환자들에겐 생사가 걸린 문제가 될 수 있겠죠. 갖가지 제품을 만드는 공장에서는 생산라인이 멈추고 교통수단에도 영향을 미쳐 우리들의 발이 묶일 수도 있습니다. 정전의 원인으로는 첫째 태풍, 지진과 같은 자연재난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의 전기가 차단될 수도 있고 노후화 된 주택의 전기설비 불량이나 변전소 이상으로 정전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제품들로 전기수요가 한꺼번에 몰려서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조금전 튼튼이네 집에서도 동시간대 여러 개의 전기 기기를 사용하면서 전기수요가 몰려 정전이 발생했던 것이죠. 그럼 정전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정에서 갑자기 정전이 발생했을 때는 먼저 이웃집도 정전인지 살펴야 합니다. 다른 집은 괜찮은데 우리 집만 정전이라면 누전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일단, 집안에 있는 전열기기 코드를 뽑거나 스위치를 끄고 누전차단기를 열어봐서 차단기가 내려와 있진 않은지 확인합니다. 이때, 퓨즈가 끊어져 있다면 혼자서 해결하려 하지 말고 거주지 인근의 전기공사업체에 의뢰해 수리해야 합니다. 별다른 이상을 발견할 수 없을 땐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에 문의해 점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런데 지역 전체에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파트의 경우, 지금 정전이 되어 있는지 관리사무소 등에 확인 후 복구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바깥 상황을 살핀다고 무작정 밖으로 나가지 말고 자동으로 켜지게 되어 있는 가전제품들의 코드를 뽑아둔 후, 대규모 정전 상황을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는 한국전력 콜센터 국번없이 123번으로 연락하거나 스마트폰에서 <스마트 한전> 어플리케이션으로도 가능합니다. 점검이 끝나 정전이 복구된 후엔 불안정하게 들어오는 전기로 인해 전자제품이 상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전제품 코드를 한꺼번에 다 꽂지 말고 하나씩 시간차를 두고 꽂아야 하고요. 장시간 정전 상황이 지속되다 복구됐다면 냉장고 안 식품이 변질 되지는 않았는지 꼭 확인 후 섭취해야겠죠. 집안에서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이용 중에 정전이 될 수도 있는데요.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멈추고 불이 꺼지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엘리베이터 내 비상버튼을 눌러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만약 연락이 닿지 않는다면 119 상황실에 전화해 층별 버튼 위에 적혀 있는 승강기 번호 일곱자리를 알려주세요.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해 좀 더 빨리 구조할 수 있습니다. 구조를 기다리지 않고 엘리베이터 문을 여는 것은 위험하니 절대 하지 않습니다. 영화관이나 공연장, 행사장 등에서 갑자기 정전이 되었다면 안전요원의 안내에 따라 비상구에서 가까운 사람부터 차례로 질서 있게 이동해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 노후되거나 손상된 전선이 있는지 점검하고 교체가 필요하면 전문가를 통해 교체합니다. 집안에 휴대용 랜턴과 건전지로 작동하는 라디오를 비치해 두고 갑자기 정전이 되는 경우를 대비해서 비상식음료를 구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전력수요가 급증해 공급이 불안정한 경우에 정전이 되기 때문에 평상시 대기전력을 줄이고 절전하는 노력이 우리 모두에게 필요합니다. 평소, 집안에서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들은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특히 셋톱박스나 전기밥솥 등과 같이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전기가 소모되는 제품들의 대기전력 수요를 줄이는 것도 효율적인데요. 전원버튼 중에 원의 윗부분이 뚫린채 선이 나와있는 버튼은 전기를 꺼도 대기전력을 소비중이니 코드까지 뽑아야 합니다. 반면 버튼 모양의 원이 완전히 막혀 있다면 전원만 꺼도 대기전력이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굳이 코드를 뽑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은 전기 누전이나 화재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정전 사고 예방을 위해 평상시 습관부터 바꿔보는 것이 좋겠죠. 냉, 난방기를 지나치게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살피고 가전제품은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높은 제품으로, 세탁물은 한 번에 모아서 세탁해 사용 횟수를 줄이고 전기밥솥이나 TV 셋톱박스 등 대기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제품은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 잊지 마세요. 이제는 우리에겐 없어선 안 될 소중한 전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우리의 노력이 필수입니다. 전기를 아끼고 지구를 살리는 습관,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