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 주간
  • 044-205-1070
  • 야간(당직)
  • 044-205-1600
  • 이메일주소
  • safetv@korea.kr

급증하는 개 물림 사고!! 이렇게만 대처하면 안전할 수 있습니다!ㅣ6월 2주 주간안전통신문(feat.중앙119구조본부 인명구조견센터)

2021-06-04 18:16:28.0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매일 평균 6건 이상의 개 물림 신고가 119에 접수되고 있습니다.
특히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5월부터 8월까지는 개 물림 사고가 더욱 증가한다고 하는데요.
최근 남양주에서는 50대 여성이 개에 물려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개 물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6월 2주 안전한TV 주간안전통신문에서 준비해 보았습니다.
특별히 도움을 주신 중앙119구조본부 인명구조견센터에 감사를 드립니다.

※ 퀴즈 이벤트는 유튜브 안전한TV 채널에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더보기

영상대본

대본복사
00:14 중앙119구조본부 인명구조견센터 박병배 훈련관
네 안녕하십니까? 중앙119구조본부 인명구조견센터 박병배 훈련관입니다. 

00:32 
개에 대해서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무조건 접근해서 만진다는 것. 그리고 개에게 먹이를 주로 다가간다든지 개가 싫어하는 부분을 만지려고 한다든지 아니면 무서워서 도주하려 한다든지. 이런 행동들은 얘한테 위협이 될 수 있는 행동이며 안전상 위험합니다. 

01:05
우선 개가 달려오는 상황에서는 신체가 건장한 사람도 두렵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소리를 지르거나 아니면은 도주하려 하시는데 소리를 지르는 거는 개한테 응원을 해주는 흥분을 복돋아주는 거 밖에 안되고 도주한다고 해도 개보다 빠르지 못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만히 선 상태로 개를 직접 주시하지 마시고 곁눈질로 보시면서 뒷걸음질을 치시면서 피하시는 게 훨씬 더 안전한 방법이에요. 

01:41
대형견 같은 경우에 점프를 해서 또 사람의 약한 부위인 목을 보는 습성. 사냥에서 이제 비롯된 습성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가장 취약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을 감싸고 그 자리에 서 계시거나 아니면 엎드려 계시거나 혹은 가방이나 어떤 물건이 있다라고 하면은 앞을 가려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02:09
강아지들의 질병 가운데 광견병이라는 게 있습니다. 개가 침을 흘리고 비틀비틀 거리난다든지 이런 행동을 보이는 개한테 물렸을 경우에는 119라든지 병원에 즉시 가서 거기서 치료를 받는 게 맞습니다. 근데 만약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했을 경우에는 피부에 묻음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돗물 정도로 세척해줄 수도 있습니다. 

02:37
짖는 개는 울지 않는다 라는 말이 있는데요. 그 말이 무슨 뜻이냐면 짖는 개는 자기가 두려움 혹은 좀 멀리 가줬으면 좋겠다라고 표현을 하면서 이렇게 짖는 경우거든요. 근데 더 무서운 상황은 뭐냐 하면은 짓지 않고 몸을 강직한 상태로 털을 세우고 꼬리를 바짝 올리면서 낮은 목소리로 으르렁대면서 접근하는 아이들은 짓는 강아지들보다 훨씬 물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배우신 것처럼 확실하게 대비를 해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03:17
개와 개끼리의 투쟁에서 사람이 억지로 떼어내려 하다가 사람이 물리는 경우도 다반사가 있거든요. 만약에 싸움이 났을 경우에 함부로 개를 뜯어말리려고 하지 마시고 주변에 있는 물이라든지 어떤 소리가 나는 도구들 이런 걸로 주의를 환기시켜서 걔들이 떨어질 수 있게끔 하시는 게 첫 번째이고요. 두 번째로는 큰 개와 작은 개들이 싸웠을 때 만났을 때 큰 개의 견주분께서는 목줄의 착용 상태라든지 견줄의 단단함 그리고 일부러 접근하려 하지 마시고 오히려 삥 돌아가주는 그런 기지를 좀 발휘해 주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04:00 
네 견주분들께서는 2m 이내의 견줄을 꼭 착용하셔야 되고 만약에 내 개가 사람을 물거나 다른 개에 대해서 해를 끼칠 수도 있는 개가 된다고 하면은 꼭 입마개를 하셔야 되는 게 중요합니다. 내 개는 그렇지 않을 거야라는 판단보다 내 개를 객관적으로 평가해서 꼭 입마개를 착용해주시고 너무 긴 줄이 아닌  2m내의 줄로 개를 통제하여 줄 수 있는 게 안전합니다.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