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N
S
열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소식


안전한TV 소개
화재 예방 및 행동요령더보기
영상대본

한번 발생하면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를 불러오는 화재는 사람의 실수 또는 고의로 인한 연소 현상으로 현상으로 화학적인 폭발 현상을 수반하기도 합니다. 주택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헌옷이나 신문 폐지, 폐박스 같이 불에 탈 수 있는 물건들을 함부로 쌓아놓지 않아야 합니다. 특히 인화성 기체인 부탄가스는 알콜, 휘발유 같은 인화성 액체를 함부로 두면 안됩니다.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카펫 아래나 장농 뒷편 같이 보이지 않는 곳에 전선을 늘어뜨리는 것을 삼가합니다. 호기심 많은 어린 아이들의 불장난도 화재를 불러 올 수 있습니다. 라이터나 성냥처럼 불을 일으킬 수 있는 물건은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합니다. 주방에선 가스불 위에 요리를 두고 장시간 자리를 비우면 안 됩니다. 깜빡하고 올려둔 냄비가 집안 전체를 태울 수도 있습니다. 전기난로 같은 전열기를 사용할 땐 벽이나 탈 수 있는 물품 주위는 피합니다. 아파트에서는 출입구쪽 화재시 대피로 확보를 위해 이웃으로 통화는 발코니 비상문이나 비상 칸막이 벽이 있는지 확인하고 통행을 막지 않도록 가구를 놓지 않습니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피난계단이 연기에 오염되는 경우를 대비해 연기를 피해 공기를 마실 수 있는 발코니 창문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발코니를 확장해 창문을 열기 어려운 주상복합 고층 아파트에서 현관문을 통해 연기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연기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밀폐가 가능한 작은 방 같은 안전구역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누전에 대비해 건물이나 대용량 전기기구에는 회로를 분리하여 회로 별로 누전차단기를 설치합니다. 또 배선에 피복이 벗겨진 부분은 없는지 손상여부를 수시로 점검하고 전선은 금속체나 젖은 구조물에 직접 접촉 되지 않도록 배선해야 합니다. 합선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 하기 위해선 과전류 차단기는 반드시 정격 용량 제품을 사용합니다. 전선은 용량에 적합한 규격 전선을 사용하고 노후 되었거나 손상된 전선은 반드시 새 전선으로 교체합니다. 전선을 설치할 땟 못이나 스테플러로 전설을 고정하지 않도록 합니다. 특히 바닥이나 문틀을 통과는 전선은 피복이 손상되어 접속 불량을 일으켜 이 때 발생되는 불꽃 에 의해 발화될 수 있으므로 배관 등으로 보호합니다. 전기 스파크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기기는 사용 후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 둡니다. 정전이 될 경우에도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뽑거나 스위치를 꺼 두는게 게 좋습니다. 배전반 내의 먼지나 금속가루 같은 분진은 수시로 청소를 해 분진이 쌓이지 않도록 합니다. 분전함이나 전기시설 부근에는 가구나 위험물, 기타 탈 수 있는 물건들을 두지 않습니다. 과부하로 인한 화재를 막기 위해서는 한 콘센트에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문어발식 사용을 삼가하여야 합니다. 또, 전기기기의 전기용량 및 전압에 적합한 규격 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과부하로 인한 화재를 막을 수 있습니다. 장시간 전원을 켠 상태로 전기 기구를 사용하면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사용한 전기기구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 놓고 외출합니다. 전기장판 같은 발열재는 오랜시간 전원을 켠 상태로 사용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사용하지 않을 땐 반드시 전원을 끄고 일정 온도에 올라 따뜻해지면 조절기의 온도를 낮춰 사용합니다. 또 전열기 등의 자동온도조절기는 고장여부를 수시로 확인 하는 것이 가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선과 전선, 단자와 전선 등 접속부위는 집중적으로 열이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단단히 조여서 느슨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화재발생시 당황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불이 났을 땐 큰 소리로 집안의 다른사람에게 불이 났음을 알리고 최대한 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이 때 화재경보기의 벨을 눌러 이웃에게도 화재 사실을 알립니다. 불이난 곳에선 방문을 열기 전에 문에 손을 데어 보거나 손잡이를 만져보고 뜨겁지 않으면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갑니다. 만약 손잡이가 뜨겁다면 절대 문을 열어선 안됩니다. 즉시 다른 대피로를 찾아야 합니다. 화재로 인한 사망 사고의 대부분은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입니다. 연기 층 아래에는 맑은 공기 층이 있으므로 팔과 무릎으로 기어서 이동하되 배를 바닥에 대지 않도록 합니다. 또 코와 입을 젖은 수건이나 웃옷 등으로 막아 가급적 마시는 연기의 양을 줄이는게 중요합니다. 대피로를 선택할 때 엘리베이터는 정전으로 멈춰 갇힐 수 있으니 절대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 대피합니다. 바깥으로 대피한 경우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서 구조를 기다리고 밖으로 나온 뒤에는 귀중품 등을 꺼내기 위해 다시 안으로 들어가면 안 됩니다. 불이 아래층에서 발생했을 때 불과 연기의 확산이 너무 빨라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 할 경우에는 옥상으로 대피하여 구조를 요청해야 합니다. 불길이나 연기가 주위까지 접근하여 대피가 어려울 때는 외부 창문을 열어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도록 하고 구조대원이 구해 줄 때까지 기다립니다. 만약 집안에 갖혔을 때에는 구조대원을 기다리는 한 편,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을 젖은 옷이나 이불로 막아야 합니다. 또 불길이 방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샤워기를 사용해 문주위에 물을 최대한 뿌려 확산을 지연시킵니다. 먼저 화재 발생 시 침착하게 119에 신고 합니다. 신고할 땐 화재 발생 장소와 종류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고 정확한 주소를 알려 준 후 소방서에서 알았다고 할 때까지는 전화를 끊으면 안 됩니다. 지하철 전동차 화재발생시 밀폐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는 특성상 침착하고 빠른 대처가 초반 중요합니다. 먼저 노약자 장애인석 옆에 있는 비상 버튼을 눌러 승무원에게 연락 합니다. 화재는 초기진압이 중요합니다. 신고 후 여유가 있다면 객차마다 두 개씩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불을 끕니다. 출입문이 열리지 않을 땐 비상용망치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깨고 망치가 없다면 소화기로 유리창을 깹니다. 화염이 크게 번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열차가 승강장에 정차시 내려서 소화전을 이용하여 불을 끕니다. 전동차의 문을 수동으로 열기 위해선 출입문 쪽 의자 옆 아래에 있는 뚜껑을 열고 뚜껑 속에 비상구를 잡아당겨 공기빠지는소리가 멈출 때까지 3에서 10초간 기다립니다. 공기가 빠진 후엔 손으로 출입문을 열 수 있습니다. 출입문이 열리면 연기를 마시지 않도록 코와 입을 수건이나 옷 소매 등으로 막고 비상구로 신속하게 대피 합니다. 정정이 되었다면 대피유도등을 따라 출구로 나가고 유도등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벽을 짚으면서 나가거나 시각장애인 안내용 보도블록을 따라 대피합니다. 공공 지하상가의 구조상 방향감각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우왕좌왕 하지 말고 한 방향을 택하여 대피하되 여의치 않을 경우 반대방향의 경로를 택하여 대피합니다. 이 때 화재가 발생한 반대쪽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대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하상가는 구조상 모든 실에 연기가 찰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도 지하에 남지 말고 무조건 지상으로 재빨리 대피해야 합니다. 화재가 발생한 사무실을 탈출 할 때에는 출입문을 반드시 닫고 나와야 합니다. 열린문이나 창문으로 산소가 공급되면 불길이 더욱 강렬해 지기 때문에 탈출하면서 열린 문이 있으면 모두 닫고 대피합니다. 건물 밖으로 빠져나오면 건물에서 떨어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 모든 인원이 탈출했는지 확인합니다. 119로 전화해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있을 때는 소방관에게 인원수와 최종 위치를 알려줘야 합니다. 탈출한 경우에는 절대로 다시 화재 건물로 들어가면 안 됩니다. 만약 건물 밖으로 대피하지 못 했을 때에는 밖으로 통하는 창문이 있는 방으로 들어가서 구조를 기다립니다. 방 안으로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을 커튼 등으로 막고 주위에 물이 있으면 옷에 물을 적셔 입과 코를 막고 숨을 쉬면 좋습니다. 엘리베이터는 영기의 통로가 되거나 정전으로 멈춰 갇힐 위험이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하면 안 됩니다 한순간에 모든 것을 잿더미로 만들어 버리는 화재. 작은 불씨도 놓치지 않는 우리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 만이 화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