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유형별 재난

계절별 재난

생애주기별 재난

프로그램별 보기

안전 유튜브

열린 안전한TV

정책·홍보영상

안전한TV 소개

  • 주간
  • 044-205-1070
  • 야간(당직)
  • 044-205-1600
  • 이메일주소
  • safetv@korea.kr

핫팩은 어떻게 뜨거워지는 거야? 직접 뜯어봤습니다!ㅣ안전한TV 호기심 영상

2024-02-28 16:53:30.0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겨울철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핫팩!!
이 핫팩은 도대체 어떤 원리로 뜨거워지는걸까요?

안전한TV 제작진이 그 호기심을 해결하고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직접 핫팩을 뜯어보고 실험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대표적인 2가지 핫팩인 가루형 핫팩, 액체형 핫팩 모두 실험을 진행해 보았는데요, 핫팩의 내용물을 직접 볼 수 있는 신기한 경험이었습니다.

정말 편리한 핫팩이지만 사용 시 안전을 위해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고 하는데요.
안전한TV 호기심 영상을 통해 확인해 주세요~ 
더보기

영상대본

대본복사
흔들어주거나 똑딱~!! 한 번이면 단 몇 분 만에 40도에서 70도까지 뜨거워지는 핫팩~!
손안에 들어올 정도로 작은 핫팩은 어떻게 스스로 열을 낼 수 있을까요~?

핫팩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흔들어서 사용하는 가루형과 똑딱 단추를 눌러서 사용하는 액체형이 있는데요.
어떤 원리로 열을 내는 것일까요? 
그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서 충북 진천에 자리한 한국소비자원을 찾았습니다.
가루형과 액체형을 각각 실험한 결과 가루형 핫팩은 '철'의 산화 반응을 통해서 열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핫팩을 흔들면 철 가루가 주머니 밖의 외부 공기와 만나면서 빠른 속도로 산화되기 시작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철의 산화는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열이 바로 발생하기 어렵지만, 핫팩의 철 가루는 아주 미세하고 여기에 활성탄인 '숯' 과 질석, 톱밥, 소금, 물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서 철 가루의 산화를 더욱 빨리 일으키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는 것이죠.
액체형인 똑딱이 핫팩은 액체에서 고체로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응고열을 이용한 것인데요.
그 액체가 바로 아세트산 나트륨입니다.
아세트산 나트륨은 과포화 상태로 작은 화학반응에도 액체에서 고체로 변하는데요.
이때 철로 만들어진 똑딱이를 구부리게 되면 아주 소량의 철 성분이 나와서 응고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응고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방출되며 열이 발생 되는 겁니다.

그렇다면 핫팩은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요?
그 주인공은 일본인 '니이치 마토바' 입니다.
1912년 백금을 촉매로 산화반응을 적용해서 열을 발생시켰고, 특허도 받았습니다.
그것이 오늘날 핫팩으로 이어진 겁니다.
오래전부터 온열용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던 핫팩!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먼저 '저온화상'을 주의해야 하는데요.
핫팩은 발열이 10시간 이상 지속되고 최고 70도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방심하면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때 2도에서 3도의 화상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치료 기간도 오래 걸려서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불 안이나 난방기구 근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은데요.
이불 안이나 난방기구 근처에서는 급격하게 열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급하게 열을 받으면 부풀어 오르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내용물이 흘러나 올 경우라면 버려야 합니다.
핫팩 안에 들어있는 대부분의 내용물은 호흡기에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꼭 지켜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핫팩을 버릴 때는 안전과 환경을 위해서 열기는 완전히 식히고 종량제봉투에 넣어야 합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휴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핫팩~! 
주의사항을 잘 지켜서 우리 몸은 더욱 안전하고 따뜻하게 지키고 올바른 폐기로 환경까지 지키면 더욱 좋겠죠?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안전한TV 저작물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유투브 또는 SNS등에 안전한TV 동영상을 편집해서 올리실 수 없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