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지도 못했던 곳에서 벌어지는 안전사고! 바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사고인데요. 집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 없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가정 내 안전사고만 한 해 동안 6만 9천여 건이 접수됐는데요. 사고는 대부분 미끄러짐, 넘어짐, 추락 등 물리적 충격이 대다수였습니다. 이 같은 가정 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집안 곳곳의 안전 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데요. 가정 내에서 나와 나의 가족들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 지금 함께 알아보시죠. 먼저 바닥이 미끄러운 거실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매트를 깔고,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는 가구에는 충격흡수재를 부착하여 사고에 대비합니다. 이동에 방해되는 문턱이나 전선 등 바닥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하고, 발이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노약자나 장애인이 있을 땐 이동을 돕기 위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비상 시 열 수 있는 복제 예비열쇠를 갖춰야 하며, 위급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비상연락처를 미리 게시합니다. 아이가 있는 집일 경우에는 날카로운 모서리나 뾰족한 부분이 있는 장난감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창문, 베란다 근처에는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물건은 놓지 않습니다. 창문이나 베란다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환기 등을 한 뒤에 항상 잠가두고, 블라인드 줄은 넘어지거나 목에 감길 수 있으므로 짧게 조절하고 아이의 손에 닿지 않게 합니다. 또한 문틈에 손이 끼지 않도록 손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합니다. 가스 호스가 낡거나 손상된 곳이 없는지 확인하고, 가스가 새는 곳을 확인하기 위해 비눗물을 호스 연결부위 등에 발라 거품이 일어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만일 거품이 일어난다면 가스가 새고 있다는 증거이므로 비긴급?민원신고번호 110으로 신고합니다. 이밖에도 LPG 가스는 반드시 LPG 보관함에 저장하고 가스 보일러의 배기구 환기통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전기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문어발식 콘센트는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먼지가 쌓여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전기 콘센트에는 안전커버를 설치합니다. 마지막으로 선반이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선반이나 높은 곳의 그릇이 떨어지지 않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합니다. 이때 선반의 경우에는 L자 꺾쇠로 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관, 계단, 복도 등 어두운 곳에 밝은 조명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화장실 바닥 등 미끄러워 넘어질 수 있는 곳에 미끄럼 방지처리를 해두었는지 확인합니다. 재난 발생 시 빠른 대피를 위해 대피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물건은 피난통로에 쌓아두지 않습니다. 비상식량, 물, 약품 등을 담은 비상배낭은 가족들이 잘 아는 익숙한 장소에 상시 비치해두어야 합니다. 또한 약품은 오용하지 않도록 약품의 용도별로 구분하여 보관하고, 약품보관함은 아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두거나 잠금장치를 설치합니다. 노약자나 장애인이 있는 경우 휠체어, 이동 보조기구 등이 고장이나 파손된 곳이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개인정보와 연락처를 기록한 카드 등을 소지하여 연락두절, 실종 등에 대비합니다. 마지막으로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는 필수이며, 소화기의 경우 충약상태를 확인합니다. 가장 안전하고 편안한 공간이어야 하는 집! 가정 안전 점검을 통해 몸과 마음이 모두 편안한 우리 집을 가꾸시길 바랍니다.